- newcpa77
인터넷방송 플랫폼의 종류
한국에는 다양한 인터넷방송 플랫폼이 존재한다. 티비를 보는거보단 인터넷방송을 자주 접하게 되며 그 수만해도 수십여가지가 있고, 그 아래 파생되는 계열사도 굉장히 많이 늘어나게되었다. 아직까지는 단연 국내에선 아프리카티비가 가장 많은 시청자 수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나친 규제로 인해 대다수의 시청자의 연령대는 10대~20대가 가장많고 그로인해 게임방송이 가장 큰 인기를끌고있다.
20대~60대까지의 게임방송보다는 bj와의 소통을 중시하고 규제가 거의 없다시피한 인터넷방송을 보고 즐기는 시청자들은 팝콘티비와 판다티비로 옮겨가는 추세이다.
수많은 여캠bj들 또한 판다티비로 넘어가게되었고 여캠방송을 좋아하고 여캠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많은 시청자들또한 panda tv로 많이 유입이 되며 아프리카tv 다음으로 가장많은 시청자를 보유한 플랫폼이 되었다.

PRISM Live Studio: 네이버에서 서비스 중인 동시 송출 플랫폼. 동시 송출(네이버TV, 아프리카TV, 유튜브, 트위치, 페이스북 등) 기능을 지원을 하며 별도의 설치가 필요하다.
하쿠나 라이브 #: 게스트 라이브 방송으로 방송중 게스트를 초대해 떠들 수 있다. 보이스와 영상이 둘다 지원된다.
바나나TV: 팝콘TV 계열.
도토리TV: 팝콘TV 계열.
오렌지TV: 팝콘TV 계열.
인스타TV: 팝콘TV 계열.
핫스팟TV: 팝콘TV 계열.
핫독TV: 팝콘TV 계열.
96TV: 팝콘TV 계열.
뽕TV: 팝콘TV 계열.
판다TV(구 캔TV, 풀TV) #: 풀TV와 캔TV가 합병을 한 후 2019년 10월 30일에 판다TV로 오픈되었다. 팝콘TV 등에서 정지가 된 인터넷 방송인들이 옮겨가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팝콘TV와 달리 아프리카TV처럼 인터넷 브라우저로 시청이 가능하다. 팝콘TV의 수위가 약해진 이후로 그 틈을 타서 사용자수를 상당히 많이 모으고 있다. 팝콘TV를 제대로 위협하고 있는 플랫폼이다.
윙크TV: 판다TV 계열.
지플레이: 2015년 9월 11일에 오픈한 판다TV 계열의 개인 인터넷 방송 사이트(2016년 2월 3일에 라이브G를 흡수합병했다.)
꿀TV: 2015년 11월 4일에 오픈한 판다TV 계열의 개인 인터넷 방송 사이트
라이브스타: 골드라이브 계열. 스타크래프트1 전 게이머이자 주작밤인 마재윤이 2017년 12월 18일 스타1 방송을 재개한다고 소개한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다. 기존 아옳이김민영이 방송을 했었고 현재 채보미와 라니아등 걸그룹 그리고 20대 초반의 어린친구들의 토크 방송이 있다
k-live(구 팡팡티비): 골드라이브 계열. 아프리카TV를 겨냥해서 나온 새 플랫폼이다. 팝콘TV 밑에 있던 티비놀이와 라이브스타가 연동TV로 건너왔다. 건전 콘텐츠 위주다보니 사용자가 적은 편이다. 애초에 이쪽은 아프리카가 워냑 많이 차지하다 보니.